안녕하세요 이도수산질병관리원 블로그 조인턴입니다.
이번 편은 흰다리새우에 대해 알아볼게요!
목차
1. 흰다리새우란?
2. 흰다리새우 양식
3. 흰다리새우 질병
4. 흰다리새우 철
흰다리새우란?
흰다리새우는 십각목 보리새우과의 한 종류로 대서양 서쪽의 멕시코 내안에서부터 페루 북쪽이 원산지입니다. 크기는 최대 20cm 정도이며 얕은 바다에서 서식합니다. 갑각은 암갈색을 띠고 검은 반점이 나있으며 대하와 유사하지만 이마뿔이 짧아서 코 끝을 넘지 않는 동시에 다소 높은 점, 더듬이와 수염이 대하에 비해 짧은 점, 꼬리가 푸른 기없이 붉은 빛을 띠는 점 등으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양식을 통해 대하의 대용으로 널리 소비되고 있습니다. 대하 양식이 흰점 바이러스에 궤멸적인 피해를 입은 이후 거의 모든 양식 업체들이 흰다리 새우로 갈아타며 새우 생산량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대 몸길이는 23cm이며 수명은 약 1년입니다.
국내에서는 서해와 남해에 주로 양식되며 봄부터 가을까지 수확됩니다. 단백질과 칼슘, 비타민 등이 풍부하여 구이, 튀김, 탕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됩니다.
흰다리 새우와 대하 구별법
흰다리새우와 대하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으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 이마뿔의 길이 : 흰다리새우는 이마뿔이 짧아 코끝을 넘지 않습니다. 반면 대하는 이마뿔이 길어 코끝을 넘습니다.
- 더듬이와 수염의 길이 : 흰다리새우는 더듬이와 수염이 대하에 비해 짧습니다. 대하는 자기 몸통의 2-3배 가량되는 수염을 가지고 있습니다.
- 꼬리 : 대하는 가슴다리가 흰색이고 배다리가 붉은 빛을 띠는 반면 흰다리새우는 전체적으로 연한 청회색을 띱니다.
- 다리 : 대하는 가슴다리가 흰색익 배다리가 붉은 빛을 띠는 반면 흰다리새우는 전체적으로 연한 청회색을 띱니다.
- 몸통의 색깔 : 흰다리새우는 대하에 비해 몸통이 더 밝은 색을 띱니다.
- 뿔의 개수 : 흰다리새우는 뿔이 2개이고 대하는 뿔이 3개입니다.
흰다리새우 양식
흰다리새우 양식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 양식장 조성 : 양식장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질과 지형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장소를 선정해야 합니다. 이후 양식장 바닥을 청소하고 해수를 끌어와 양식장에 공급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합니다.
- 치하 입식 : 양식장에 치하(어린 새우)를 입식합니다. 치하는 크기가 작고 생존율이 낮기 때문에 적절한 양을 입식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먹이 공급 : 치하가 성장함에 따라 먹이를 공급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흰다리새우의 먹이는 식물성 플랑크토느 동물성 플랑크톤, 새우 사료 등이 있습니다. 먹이의 양과 종류는 새우의 성장 속도와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조절해야 합니다.
- 환경 관리 : 수온, 염분, pH 등의 환경 요인을 적절하게 조절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양식장에 수온 조절 장치, 염분 조절 장치, pH 조절 장치 등을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수질을 측정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 수확 : 새우의 크기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성장하면 수확합니다. 수확 시에는 새우의 건강 상태와 품질을 고려하여 적절한 시기와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흰다리새우 양식은 기술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양식장의 규모와 시설도 점차 대형화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양식과정에서 수질 오염, 질병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연구와 개선이 필요합니다.
흰다리새우 질병
흰다리새우 양식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질병은 다음과 같습니다.
- 흰반점병 : 흰반점병은 흰다리새우의 피부에 흰색 반점이 생기는 질병입니다. 이 질병은 세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새우의 성장과 생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바이러스성 질병 : 흰다리새우에 감염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는 흰점바이러스, 십각류무지개바이러스 등이 있습니다. 이들 바이러스는 새우의 면역력을 약화시키고 대량 폐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세균성 질병 : 세균성 질병으로는 에드와드병, 슈도모나스병 등이 있습니다. 이들 세균은 새우의 아가미, 피부, 내장 등에 감염되어 염증을 일으키고 대량 폐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기생충 감염 : 흰달새우에 감염되는 기생충으로는 트리코디나충, 스쿠티카충 등이 있습니다. 이들 기생충은 새우의 피부, 아가미, 내장 등에 기생하여 새우의 성장과 생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흰다리새우 양식에서는 질병 예방을 위해 적절한 수질 관리, 소독제 사용, 백신 접종 등의 조치를 취해야합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건강한 어미 새우를 사용하고, 양식장 간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 있습니다. 새우 양식에 있어서는 질병과리가 생산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만약 질병 발생 시에는 신속하게 대처하여 피해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흰다리새우 철
흰다리새우의 제철은 9~ 12월입니다.
이 시기에는 살이 통통하게 오르고 맛과 영양가가 높아집니다. 특히 가을에는 제철을 맞이하여 맛과 영양가가 더욱 높이지며 다양한 요리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단, 제철이 아니더라도 냉동이나 냉장 보관된 흰다리새우는 언제든지 구매할 수 있으며 맛과 영양가가 다소 떨어질 수 있지만 조리방법에 따라 맛을 높일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네이버를 참고했습니다.
메기의 모든 것(메기란? 메기생태 메기양식 메기효능)
안녕하세요이도수산질병관리원 블로그 조인턴입니다 :)이번 편은 못생긴 물고기의 대표 메기를 알아보겠습니다목차1. 메기란?2. 메기의 생태3. 메기 양식4. 메기 효능 메기란? 메기는 잉어목 메
first.2dofish.com
'수산양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트남에서 저렴하게 먹는 다금바리? 한국산 다금바리와 차이점? 베트남 다금바리가 궁금하다! (3) | 2025.07.04 |
---|---|
고부가가치 어종 '부시리'에 대해 알아봅시다. 방어와 친척? (3) | 2025.07.01 |
우럭의 모든 것(우럭이란? 우럭양식, 우럭질병, 우럭제철, 우럭시세) (4) | 2025.06.28 |
점농어의 모든것(점농어란? 점농어 제철, 점농어 양식, 점농어 질병) (1) | 2025.06.27 |
철갑상어의 모든 것(철갑상어란? 철갑상어양식 철갑상어질병 철갑상어효능 캐비어) (6) | 2025.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