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미있는 수산물이야기 및 효능

폐어구로 썩어가는 우리바다

by 관사마- 2025. 8. 27.
반응형

 


우리나라 바다에 버려지는 폐어구 문제는 심각한 환경 및 경제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정부와 사회가 함께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폐어구로 썩어가는 우리바다

 

1. 폐어구의 규모와 문제점

  • 연간 4만 톤 이상의 폐어구가 바다에 버려지고 있습니다.
  • 유령어업 (Ghost Fishing): 버려진 어구에 해양 생물이 걸려 죽거나 포획되어 생태계가 파괴되고, 수산자원이 고갈됩니다.
  • 선박 사고 증가: 폐어구가 선박에 걸려 부유물 감김 사고가 발생하며, 최근 10년간 관련 사고가 88% 증가했습니다.
  • 미세플라스틱 오염: 폐어구가 분해되면서 미세플라스틱이 생성되어 해양 생물 체내에 축적되고, 이는 인간의 식탁까지 위협합니다.

 

폐어구로 썩어가는 우리바다

 

폐어구로 썩어가는 우리바다 *출처 해양수산부

 


2. 경제적 피해

  • 유령어업과 어업 자원 감소로 인해 연간 4,000억 원 규모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합니다.
  • 어업인들은 해양 사고와 어족 자원 감소라는 이중 피해를 겪고 있습니다.

폐어구로 썩어가는 우리바다
폐어구로 썩어가는 우리바다 *출처 해양수산부

 

3. 해결 방안

  • 어구보증금제도: 폐어구 회수를 촉진하기 위해 어구 구매 시 보증금을 받고, 회수 시 환급해주는 제도입니다.
  • 어구실명제: 어구 설치 시 소유자를 명시해 책임감을 강화합니다.
  • 해양 쓰레기 수거 활동: 플로깅이나 해양 정화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폐어구와 해양 쓰레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사회적 인식 제고: 어업인과 해양수산 종사자의 자발적 참여가 중요합니다.

 


4. 정부 및 기관의 역할

  • 해양수산부는 어구보증금제와 실명제를 추진하며, 한국수산자원공단은 해양 생태계 복원을 위해 바다숲 조성 등 을 지원합니다.
  •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KOMSA)은 해양 사고 예방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폐어구 문제는 단순한 쓰레기 문제를 넘어 생태계 균형과 경제적 안정을 위협하는 복합적 이슈입니다. 정부 정책과 더불어 국민적 관심과 실천이 필요하며, 지속 가능한 어업 문화 정착이 중요합니다.
 
 
 
2025.06.05 - [수산양식] - 이리도바이러스백신 - 이도수산질병관리원 (돌돔백신, 돌돔질병)

이리도바이러스백신 - 이도수산질병관리원 (돌돔백신, 돌돔질병)

안녕하세요.관사마, 이도수산질병관리원입니다.이번에는 저의 본업이 수산업관련 포스팅입니다. 2022년을 시작으로 올해부터 이리도바이러스 백신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참고하시라고, 올해

first.2dofish.com

 
2025.05.13 - [재미있는 수산물이야기 및 효능] - 바다 오염의 심각성, 바다의 부영양화, 양식장 주변오염, 낙동강 녹조현상 feat 유튜브 kbs 다큐

바다 오염의 심각성, 바다의 부영양화, 양식장 주변오염, 낙동강 녹조현상 feat 유튜브 kbs 다큐

목차1. 제주 바다의 오염과 생태계 파괴2. 제주 바다의 부영양화 문제3. 제주 바다의 부영양화 현상 및 원인4. 낙동강의 심각한 오염 현상 https://youtu.be/WlG0yXyfSAM *출처 유튜브 kbs다큐 ㆍ이 영상은

first.2dofish.com

 
2025.05.01 - [재미있는 수산물이야기 및 효능] - 지속 가능한 바다양식을 위해서 우리 모두가 해야할 일!

지속 가능한 바다양식을 위해서 우리 모두가 해야할 일!

"해양생태계의 지속가능한 바다양식을 위해서 우리가 해야할 일" 지속 가능한 바다 양식은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면서도 안정적인 식량 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first.2dofish.com

 
이도수산질병관리원 - 네이버 지도

네이버 지도

이도수산질병관리원

map.naver.com

 
관사마 Kwansama - YouTube

관사마 Kwansama

관사마Tv (Fish)(Aquaculture) (Travel)(Music)(Sports) 물고기, 수산양식, 여행, 음악, 스포츠

www.youtub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