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도피쉬방9 임금님 수랏상에 자주 올랐던 멸종어종 종어 40년만에 양식성공 종어 (L. longirostris)는 한국의 토종 민물고기로, 메기목 동자개과에 속하는 어종입니다. 조선시대에는 그 맛이 뛰어나 수라상에 오를 정도로 귀하게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1970년대 이후 국내에서 자취를 감추며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종어의 특징 학 명Leiocassis longirostris목 / 과메기목 - 동자개과채 색등쪽 회색을 띤 황갈색, 배쪽 연한 흰색서 식 지 역하천 하류의 물이 흐리고 바닥이 모래나 진흙으로 된 곳, 하구 근처 기수역국 내대동강, 한강, 임진강, 금강에 서식(멸종) 1. 외형적 특징몸 길이: 종어는 보통 20cm에서 50cm 정도로 자라며, 최대 크기는 약 90cm에 달할 수 있습니다. 이는 민물고기 중에서도 상당히 큰 편입니다.몸 형태: 몸은 길고 옆으.. 2025. 6. 17. 전갱이의 맛과 건강 효능 전갱이 양식 목차1. 전갱이 특징2. 전갱이 양식3. 전갱이 효능 전갱이는 우리 바다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어종 중 하나입니다. 전갱이는 가격 대비 건강 효능이 뛰어나 가성비 좋은 슈퍼푸드로 손꼽히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전갱이가 가지고 있는 건강 효능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1. 전갱이 특징 전갱이는 농어목 전갱이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학명은 Trachurus japonicus 입니다. 한국에서는 주로 남해안에서 많이 잡히며, 일본어로는 '아지 (あじ)' 라고 불리며 일본에서 인기 있는 어종입니다. 1. 외형적 특징: 전갱이의 몸길이는 보통 40cm 정도이며, 긴 유선형의 몸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등은 암청색이고 배는 은백색을 띠며, 방패 지느러미가 발달해 있는 것이 특.. 2025. 6. 11. 한국의 생선회 문화와 활어회&숙성회&선어회 차이점 일본과 차이점 목차1. 한국의 회 문화와 쌈 문화의 차이 2. 활어회 & 숙성회 & 선어회의 특징과 장단점3. 한국과 일본의 생선회 문화 비교 우리나라와 일본은 지리적으로 가까우며 생선회를 먹은 시점도 조선 중기 정도로 비슷하지만 생선회 문화는 많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번 시간은 한국의 회 문화와 일본과의 식문화 차이점 그리고 활어회,숙성회,선어회 식감과 특징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1. 한국의 회 문화와 쌈 문화의 차이 한국의 회 문화 1. 활어회 중심: 한국에서는 주로 살아있는 생선을 잡아 신선한 상태로 회를 즐깁니다. 이로 인해 생선의 쫄깃한 식감과 신선함을 중시합니다. 2. 다양한 양념 곁들이: 초고추장, 쌈장, 간장 등 다양한 양념을 사용하며, 마늘, 고추, 깻잎 등의 부가 재료를 .. 2025. 6. 10. ★해양수산부 선정 5월 제철 해산물★ 목차1.개요2.해양수산부 선정 5월 제철 해산물 top32-1. 멍게2-2. 갑오징어2-3. 전복 개요 5월 제철 해산물 3가지를 소개 드리겠습니다.5월 제철 해산물은 많지만해양수산부 선정 대표 수산물 3가지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5월 대표 제철 해산물 첫번째 멍게 멍게는 5월부터 6월까지가 제철로, 이 시기에 가장 맛이 좋습니다. 바다의 파인애플이라고도 불리는 멍게는 독특한 모양과 특유의 향으로 사랑받고 있으며, 영양가 또한 매우 높습니다. 멍게의 주요 특징 1. 외형: 멍게는 붉은색의 껍질과 오렌지색의 속살을 가지고 있습니다. 껍질은 두껍고 돌기가 높게 솟아 있으며, 양식 멍게는 껍질이 얇고 돌기가 낮게 돌출된 특징이 있습니다. 2. 서식 환경: 우리나라와 일본 북태평양 연안의 수심 6~2.. 2025. 5. 11. "한국은 줄서서 먹는데..." 해외에선 쓰레기 취급 받는 대표 해산물 ! 목차1. 홈볼트 오징어와 노르웨이 고등어의 한국 내 소비현황2. 튀니지 청색 꽃게와 이태리 푸른 꽃게의 한국 내 소비현황3. 한국과 외국의 특이한 골뱅이 소비 문화 비교4. 꼼장어와 한국의 독특한 식문화 외국에서는 쓰레기로 여겨지는 해산물이 한국에서는 인기 있는 식문화의 한 부분이 되는 과정을 설명드리겠습니다.특히, 꼼장어, 골뱅이, 이탈리아 푸른꽃게, 튀니지 청색 꽃게 등 다양한 해산물들에 대해서 다뤄볼 예정입니다.이러한 해산물들은 다른 식문화에서는 먹지않지만, 한국에서는 소중한 식재료로 인정받고 있습니다.이 글은 한국의 해산물 소비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외국 해산물의 다양성을 보여줍니다. 1. 홈볼트 오징어와 노르웨이 고등어의 한국 내 소비 현황 홈볼트 오징어는 칠레 앞바다에서 잡히며, 중국에서.. 2025. 5. 9. 인지질의 구조와 풍부한 효능 정리 (크릴) feat 수산물이야기 안녕하세요.오늘은 우리의 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인지질에 대해 깊이 있는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인지질이 뭔지, 우리 몸에 어떤 좋은 영향을 주는지 꼼꼼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인지질(Phospholipid)은 인(P)을 포함하는 지질의 일종으로, 생체막의 주요 구성 성분 중 하나입니다. 인지질은 당지질, 콜레스테롤, 단백질과 함께 세포막의 구조를 형성하며, 세포 신호 전달, 세포 자멸사, 막 단백질의 기능유지 등 다양한 생리학적 과정에 필수적입니다. 인지질의 구조적 특징 1. 글리세롤(Glycerol): 인지질의 중심에 위치한 3탄당 분자로, 여기에 지방산과 인산기가 결합합니다. 2. 지방산(Fatty Acid): 글리세롤에 결합된 두 개의 지방산은 소수성(hydropho.. 2025. 5. 7.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