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바다쓰레기2

폐어구로 썩어가는 우리바다 우리나라 바다에 버려지는 폐어구 문제는 심각한 환경 및 경제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정부와 사회가 함께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1. 폐어구의 규모와 문제점연간 4만 톤 이상의 폐어구가 바다에 버려지고 있습니다.유령어업 (Ghost Fishing): 버려진 어구에 해양 생물이 걸려 죽거나 포획되어 생태계가 파괴되고, 수산자원이 고갈됩니다.선박 사고 증가: 폐어구가 선박에 걸려 부유물 감김 사고가 발생하며, 최근 10년간 관련 사고가 88% 증가했습니다.미세플라스틱 오염: 폐어구가 분해되면서 미세플라스틱이 생성되어 해양 생물 체내에 축적되고, 이는 인간의 식탁까지 위협합니다. 2. 경제적 피해유령어업과 어업 자원 감소로 인해 연간 4,000억 원 규모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합니다.어업인들은 해양 .. 2025. 8. 27.
바다의 쓰레기통, 씨빈 안녕하세요이도수산질병관리원 박정민 과장입니다이번 편은 바다의 쓰레기통 씨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씨빈(Seabin)'은 2015년 호주에서 앤드류 터튼과 피트 세글린스키라는 두 청년이 개발한 바다 위를 떠다니며 각종 쓰레기와 기름을 흡입하는 해양 쓰레기 수거장치로 바다(sea)와 쓰레기통(bin)을 합쳐 seabin이라고 이름 지어졌습니다. 주로 항구, 선착장, 마리나, 요트 클럽 등 수면이 비교적 잔잔하면서도 쓰레기가 자주 발견되는 곳에 설치되며 전 세계에 860여 개 정도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인천항 연안 여객 터미널에서 시범 설치되어 운영하고 있으며 해양수산부는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저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씨빈은 해양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 2024. 11.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