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도수산질병관리원 블로그 조인턴입니다
이번 편은 제가 철마다 즐겨먹는 향어에 대해 포스팅해볼게요
목차
1.향어란?
2.향어양식
3.향어질병
4.향어제철
향어란?
향어는 잉어목 잉어과의 민물고기로 이스라엘에서 개량된 품종입니다.
- 형태 : 몸은 길고 옆으로 납작하며 비늘은 작고 둥글둥글합니다. 입은 크고 아래로 향해 있으며 수염이 없습니다.
- 색깔 : 등 쪽은 짙은 녹갈색이고 배 쪽은 흰 색입니다.
- 서식지 : 물이 맑고 수온이 낮은 호수나 하천에서 서식합니다.
- 먹이 : 잡식성으로 식물성 먹이와 동물성 먹이를 모두 먹습니다.
- 번식 : 5-6월 경에 수온이 20-22도일 때 산란을 하며 알의 지름은 2m정도이고, 산란수는 1-2만 개 정도입니다.
- 성장 : 성장이 빠르고 1년에 30-40cm까지 성장하며, 3년 정도면 60-70cm까지 성장합니다.
- 이용 : 맛이 담백하고 영양가가 높아 식용으로 많이 이용됩니다. 주로 회로 먹거나 매운탕, 찜, 구이 등으로 먹습니다.
- 효능 : 단백질과 칼슘이 풍부하여 체력 회복에 도움이 되며 비타민 A가 풍부하여 눈 건강에 좋습니다. 또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여 심혈관 질환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향어양식
한국에서는 1970년대에서 이스라엘로부터 수입되어 양식이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국내에서 대량으로 양식되고 있습니다. 향어 양식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 어미 향어 확보 : 자연에서 포획하거나 인공적으로 번식시켜 확보할 수 있습니다.
- 양식장 조성 : 적절한 양식장을 조성해야 합니다. 물이 맑고 수온이 낮은 호수나 하천에서 서식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양식장을 조성해야 합니다.
- 향어 입식 : 어미 향어로부터 알을 받아 부화 시킨 후 치어를 양식장에 입식합니다.
- 먹이 공급 : 잡식성으로 식물성 먹이와 동물성 먹이를 모두 먹습니다. 일반적으로 사료를 먹이로 사용하며 사료는 단백질, 지방, 미네랄 등이 적절하게 함유되어 있어야 합니다.
- 수온, 수질 등의 관리 : 수온과 수질에 민감하므로 적절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 수확 : 향어의 성장이 완료되면 수확합니다. 주로 회로 먹거나 매운탕, 찜, 구이 등으로 먹습니다.
향어는 고단백, 저지방 식품으로 비만이나 고혈압 등의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이며 칼슘과 비타민이 풍부하여 성장기 어린이와 노인들에게도 좋습니다.
향어질병
향어를 기를 때는 적절한 수질 관리와 먹이 공급, 예방 접종 등을 통해 질병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며 질병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즉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1. 바이러스성 질병
- 복수증(부레병) : 겨울철 저수온기에 발생한다. 안구가 돌출되고 복강에 복수가 고여 배가 부풀어 오른다. 항문은 붉어지면서 종창, 약간 돌출된다. 치어의 경우 사망률 90% 이상.
- 복부종양증 : 관상용 비단잉어에서 쉽게 발견됨. 복부가 부풀어 그 무게 때문에 등 근육과 뼈가 밑으로 굽어 위에서 관찰하면 등이 밑으로 처진 감이 느껴진다.
- 상피종양(POX병) : 체표 전체에 걸쳐 상피세포성 종양이 생겨나며 솟아오른다. 크고 작은 흰색의 상피종양 혹은 붉은색을 띠기도 하는데 약간 딱딱한 느낌을 주는 융기물이다. 수온이 상승하면 자연 치유되기도 한다.
2. 세균성 질병
- 아가미 부식병 : 잉어, 향어 양식에 가장 많은 피해를 주는 병이다. 아가미에 황백색의 세균 집락이 부착되면서 발병하는데 아가미 점액이 많이 분비되어 점상 출혈이 나타나면 암적색으로 보인다. 건강한 어류도 평소 보균 상태에서 급작스런ㅌ 수온 상승과 함께 발병한다. 딱딱한 배합 사료가 구강에 상처를 주면 입에도 번식한다.
- 지느러미 부식병 : 지느러미, 체표 일부에 누렇거나 잿빛 반점이 발생한다. 심하면 꼬리지느러미 막까지 부식하며 근육, 등뼈가 노출된다.
- 에로모나스병 : 가을이나 이른 봄에 산소 부족, 급격한 수온변화, 절식 등으로 발병한다. 지느러미와 항문, 아가미 항쪽이 빨갛게 변하고 안구 돌출, 안구 내 출혈, 복수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 밀식하거나 상한 먹이를 먹어도 발병한다. 가을철 구름이 낀 날은 먹이 투여를 중지한다.
- 궤양병 : 수온이 높은 5~7월경 못에서 고기를 잡아 축양하다보면 채란 후 친어에서 발생하는데 피부에 미세한 상처가 생겼을 때 발병하기 쉽다. 처음엔 비늘 한 장의 가장자리에 나타나다 출혈이 심해지면서 커지고 비늘이 빠진다.
- 슈도모나스병 : 점액에 의한 체표가 회백색으로 변한다. 저수온기에 발생한다.
3. 곰팡이성 질병
- 물곰팡이병(수생균병) : 체표에 물곰팡이 균사가 발육하므로서 발병한다. 1차 원인은 에로모나스병, 선별, 이동, 수송 등으로 비늘이 탈락되거나 표피에 상처가 나면 유행한다. 변질된 사료의 지속적인 투여로 내장 기능에 문제가 일어나면 체표 점액이 분비 이상을 일으켜 궤양과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초기에는 회백색의 반점이나 무늬가 체표에 형성된다. 수중에서 관찰하면 가는 실 같은 균사가 모여 솜과 같이 보인다.
- 브랑키오마이세스증 : 식물성 플랑크톤이 풍부할 때 발생한다. 아가미 출혈 및 반점이 나타난다.
- 데모시스티음증 : 6~7월경 아가미에 발생한다. 환부가 붉어지면서 부어오른다. 안구 출혈과 부어오름도 나타난다. 수온이 30도 정도로 오르면 수일 내에 자연 치료된다.
4. 기생충성 질병
- 킬로드넬라증 : 거의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담수어류의 질병이다. 아가미나 체표에 섬모충류가 기생해 발병한다. 감염된 고기는 활기가 없어지고 먹이도 먹지 않는다. 못 가장자리에 뜬 채 머무는 게 특징. 점액이 많이 분비되어 몸체에 푸른색 또는 잿빛의 막이 덮인 것처럼 보인다.
- 우디니움증 : 표피나 아가미에 기생. 염증과 출혈을 수반한 붕괴와 괴사. 아가미 연골이 돌출되기도 함. 염증으로 황갈색 무늬가 나타나 일명 '황금먼지병', '벨벳병' 이라도로 불림. 백점충과 외관상 유사함.
- 에피스틸리스증 : 초기 1~2개의 흰점이 생기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황갈색으로 변한다. 점점 융기되어 엉키면서 덩어리로 바뀌는데, 붉어지고 확대되면서 궤양으로 발생한다.
- 트리코디나증 : 트리코디나는 대부분 담수어의 체표나 아가미, 지느러미에 기생할 만큼 흔하지만 특히 비단잉어에 많은 섬모충이다. 연중 기생하지만 특히 월동 후기부터 장마가 걷힐 때까지 많이 발생한다. 병든 고기는 호흡곤란을 겪으며 먹이 섭취, 유영행동이 활발하지 못한 채 수면 가까이 유영하다가 증세가 심해지면 폐사한다.
- 아가기 포자충증 : 아가미에 큰 포자낭이 형성되어 모세혈관이 압박을 받아 충혈 또는 출혈됨.
- 아가기 훕충증 : 움직이지 않고 조용히 정지하고 있는 붕어를 관찰할 때 아가미 뚜껑이 많이 열려져 있고 점액이 분비되면 의심된다. 아가미 조직이 비대해지면서 출혈을 동반한다.
- 피부 흡충증 : 특히 잉어에 많으며 아가미나 체표에 기생한다. 사육밀도가 높은 곳일수록 발생이 잦다. 감염되면 고기는 쇠약해지지만 특별한 다른 증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 장 포자충증 : 잉어, 향어에 많다. 배를 갈라보면 암모니아 냄새가 나고 쌀알 크기의 종양이 최대 30여개까지 돌출해 있다. 출혈성 염증으로 빈혈을 일으켜 어류의 체색이 옅어진다.
- 익티오보토증 : 다량의 점액 분비로 아가미 세판의 유착과 함께 호흡장애를 일으킨다. 표피의 해면화가 특징.
- 백점충증 : 수족관이나 관상용 수조에서 주로 발생하며 양어지에서의 발생은 거의 없다. 체표에 1mm 이하의 원이나 타원형 흰색점이 출현한다. 고기는 원기없이 유영이 둔해지고 식욕도 감소하면서 단기가 내 쇠약하고 여윈다. 건강한 붕어에 기생하는 경우는 적고, 기생해도 항체를 만들게 되므로 재감염되지 않는다. 안구에 기생하면 안구가 탁해짐. 말라카이트그린으로 구제한다.
- 조충증 : 아랫배가 상당히 부풀어 오르는데, 갈라보면 흰색의 유충이 기어 나온다
- 흑점병 : 흔히 돌붕어라고 오인하곤 하는 병으로 흡충류의 일종인 메타코니무스충의 피낭유충이 기생함으로써 비늘 및 지느러미에 발생한다. 유충의 배설물이 검은 반점으로 나타난다.
- 닻벌레 및 물이충증 : 붕어나 잉어의 체표에 기생하며 혈액을 빨아먹고 산다. 붕어가 활동성 없이 바닥에 머물러 있는 겨울 동안 자주 발생한다. 물이는 몸길이 3~7mm의 반투명한 연녹색 둥근형 기생충이며 닻벌레는 몸길이 10mm 정도의 가늘고 긴 충으로 육안 관찰된다.
향어제철
향어의 제철은 봄부터 가을까지입니다.
봄에는 향어의 산란기가 시작되기 때문에 살이 부드럽고 맛이 좋으며 어름에는 수온이 높아져 향어의 성장이 빨라져 살이 통통하게 오릅니다. 가을에는 향어의 맛이 더욱 깊어지며 살이 단단해져 식감이 좋아집니다.
향어는 수온에 민감한 어종이기 때문에 수온이 너무 높거나 낮은 시기에는 맛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마 ㄴ향어는 양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계절에 상관없이 언제든지 즐길 수 있습니다.
2025.06.09 - [수산양식] - 무지개송어의 모든것 (무지개송어란? 무지개송어양식? 무지개송어질병? 무지개송어맛? 시세?)
무지개송어의 모든것 (무지개송어란? 무지개송어양식? 무지개송어질병? 무지개송어맛? 시세?)
안녕하세요 이도수산질병관리원 블로그 신입사원 란이 입니다 :) 이번 편은 무지개송어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무지개송어란? 무지개 송어는 연어목 연어과에 속하는 어류로 북아메리카와 북
first.2dofish.com
2025.06.09 - [수산양식] - 말쥐치의 모든것 (말쥐치란? 말쥐치맛집? 말쥐치양식? 쥐포? 말쥐치매운탕?)
말쥐치의 모든것 (말쥐치란? 말쥐치맛집? 말쥐치양식? 쥐포? 말쥐치매운탕?)
안녕하세요. 이도수산질병관리원 블로그 신입사원 란이 입니다 :)이번 편은 말쥐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말쥐치?우리가 다들 이게 무슨고기인가 할겁니다 "광어 우럭 돔은 알겠는데 말쥐
first.2dofish.com
2025.05.08 - [재미있는 수산물이야기 및 효능] - 광어, 우럭 고를 때 이것만큼은 꼭 피하자! Tip
광어, 우럭 고를 때 이것만큼은 꼭 피하자! Tip
목차1. 광어와 우럭 선정 팁2. 광어와 우럭 고를 때 주의할점3. 광어와 우럭 선택시 유의 사항4. 광어와 우럭 선택 시 주의사항5. 광어와 우럭 선택시 주의해야 할점 1. 광어와 우럭 선정 팁 광어와
first.2dofish.com
참조기 양식
안녕하세요이도수산질병관리원 관사마 입니다.오늘은 요즘 떠오르는 양식어종의 하나인 참조기에 대해서 얘기해보려고 합니다:) https://sports.donga.com/region/article/all/20250116/130873184/1 영광군, 양
first.2dofish.com
네이버 지도
이도수산질병관리원
map.naver.com
관사마 Kwansama
관사마Tv (Fish)(Aquaculture) (Travel)(Music)(Sports) 물고기, 수산양식, 여행, 음악, 스포츠
www.youtube.com
'수산양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틸라피아의 모든 것(틸라피아란? 틸라피아양식 틸라피아질병 틸라피아영양성분) (7) | 2025.06.17 |
---|---|
바다의 말, 해마에 대해서 (7) | 2025.06.15 |
아가미흡충 생김새와 특징, 증상과 치료 방법 (6) | 2025.06.12 |
수산시장에서 호갱되지 않는 중요한 팁! 수산시장 이용 팁! (2) | 2025.06.12 |
참치 양식의 모든 것(참치종류, 참치부위, 참치양식) (3) | 2025.06.12 |